안녕하세요 하우버입니다
주택을 지을 수 있는 공법은
목조 이외에도 철골조, 철근 콘크리트 등
다양한 공법들이 존재해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철근 콘크리트에 익숙하기 대문에
대부분 이 공법을 선호하시는데요
아무리 신축이고 좋은 맨션이어도
목조 이야기만 나오면
기피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오늘은 일본에 왜 목조주택이 많이 지어지는지
정말 목조는 무조건 피해야 하는지
목조가 갖고 있는 다양한 특징들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목조 주택이란?
목조 주택은 주택의 주요 뼈대가
목조로 이루어진 공법을 말해요
우리나라에서는 목조 주택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일본, 미국의 경우 오래 전부터
목조주택을 지어왔고 현재까지도
재료로 목조를 많이 선택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왜 일본은 목조를 고집하는 걸까요?
1. 풍부한 산림의 활용, 지진의 대책
일본은 국토가 약 70%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목재를 손쉽게 구할 수 있었어요
단독 주택을 지을 때 주로 쓰이는
삼나무, 편백나무가 잘 자라는 환경을 가지고 있고
가볍고 가공하기 쉬워 이를 활용해
집을 짓는 문화가 오래 전부터 자리잡아 왔어요
많은 분들이 지진 발생 시 콘크리트가
더 안전한게 아닌가 의아해하실 수 있는데요
목재는 무게 대비 강도가 크고 탄성과 충격 흡수 성능이
좋기 때문에 지진이 잦은 일본에서는
목조 단독 주택이 많이 지어지고 있어요
과거, 큰 지진 피해 조사 결과를 봐도
반드시 목조 주택이 붕괴되고
철근 콘크리트, 철골조 주택이 남은 것은 아니에요
지진이 발생할 경우, 저층보다는 고층이
그리고 건축물의 무게가 무거울 수록
진동 에너지를 크게 받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같은 강도라면 저층 목조 주택이
지진 피해가 비교적 적다고 말할 수 있어요
다만, 지어진 년도 수에 따라 지진 설계가 차이가 있어
00년도 6월 이후 목조 건물을 고르시는 걸 추천드려요
명칭 |
시기 |
설명 |
(구)내진기준 |
1981년 5월 이전 |
진도 5에 버티도록 설계 |
(신)내진기준 |
1981년 6월 이후 |
진도 6~7에 버티도록 설계 |
2000년 기준 |
2000년 6월 이후 |
수백년의 한 번 발생하는 대지진에 버티도록 설계 |
2. 고온 다습한 여름, 춥고 건조한 겨울
붙박이장 또는 벽에 곰팡이가 핀 경험 있으신가요?
이는 결로현상에 의해 생긴 것으로
보통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가 커졌을 경우 발생해요
목재에 반드시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보온성이 좋고 습기를
흡수하기 때문에 잘 발생하지 않아요
이처럼 목재는 습도를 조절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인간이 지내기 적당한 습도로 조절해줘요
반대로 돌이나 벽돌, 철은 나무만큼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고온 다습한 일본에서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곰팡이와 진드기가 생기는 주거 형태가 되기 쉬워요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일본은 목재를 이용해서 습도를
줄여 여름철 환경을 쾌적하게 보낼 수 있도록 했어요
여름과 달리 일본의 겨울은
매우 춥고 건조한 환경이에요
이런 건조함 역시, 일본은 목재로 해결했는데요
목재는 낮은 습도에서는
여름과 반대로 쌓아놨던 습기를 내뿜어
인간이 지내기 좋은 습도로 만들어줘요
이처럼 일본의 지형과 기후, 자연재해로 인해
저층, 목조 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요
목조의 장단점
목조의 장점
- 재료가 유연해 집 짓는 자유도가 높다
- 건축 비용이 낮아 월세가 저렴한 집이 많다
- 단열성과 통기성이 높아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알맞다
- 보수작업이 비교적 쉽다
-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목조가 장점만 있는 자제는 아니에요
환경 친환경적이고 지진에 강하다는
강점이 있지만 벌레로 인한 문제도 있어요
하지만 일본인들도 이 문제를 모르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달리 현재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어요
목조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들
- 처리 및 보호
나무는 건축에 사용되기 전
특별한 처리 과정을 거쳐요
우선, 목재 자체에 있는 해충은
방충제 과정에서 박멸되는데요
단, 외부에서 유입되는
해충이 있을 수 있어요
이 경우, 외부 마감만 잘 해준다면
보통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요
또, 썩지 않게 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해 목재의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
- 건조한 환경 유지
건물 내부의 습도를 조절해서
나무가 너무 습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요
신축의 경우, 이를 위해 적절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요
(기계 환기 시스템, 열회수 환기 시스템)
아니면 자연 환기를 시키거나
습기 흡수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어요
-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로 나무가 썩거나 벌레에게 공격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요
목조라고 무조건적으로
피해야 하는 집은 아니에요
시공이 꼼꼼하게 잘 되었는지,
유지보수가 잘 되고 있는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보통, 계약 전 이런 점을 알 수 없으니
주변 환경을 잘 고려하고 지어진지
얼마 되지 않은 신축을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목조, 철근, 철골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니
잘 비교해보시고 나에게 맞는
구조를 선택하셨으면 좋겠어요:)
하우버 부동산은 오사카에서
가장 오래된 한인 부동산으로
외국인 입주 경험도 많고
저희만의 오랜 노하우가 있는데요
후기가 증명하는 하우버
여러분이 원하는 집을 찾아드립니다
다음에 더 유용한 정보로 찾아뵐게요